게실이라는 것은 위, 소장, 대장 등 내부 공간이 있는 장기의 벽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주머니 모양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안에서 봤을 때는 움푹 들어간 것처럼 보이고 바깥쪽에서 보면 튀어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게실이 대장에 발생하였을 경우 게실염이라고 부르는데 증상은 어떻고,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지 치료 방법과 예방 방법은 없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실염이란?
대장 내 압력이 증가하면 장벽이 약한 부위에 있는 대장 점막이 바깥으로 밀리면서 볼록한 주머니 모양을 만드는데 이것을 게실이라고 합니다. 게실은 우측 대장과 좌측 대장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고, 한 개만 있는 단일 게실부터 수십 개 이상 있는 다발성 게실까지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게실이 있다는 것을 게실증이라고 하고, 게실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를 게실염이라고 합니다.
게실염 증상
게실이 있더라도 대부분 증상으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게실에 염증이 생겼을 경우 복통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인 증상
게실염이 발생하면 보통 복통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우측 대장에 게실염이 나타나면 우측 복통이 나타나고, 좌측 대장에 게실염이 있으면 좌측 복통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복통 외에 통증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더 심하기도 하고, 발열, 설사, 변비, 구역질, 심하면 혈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합병증 증상
게실염이 커지면 합병증으로 진화하기도 하는데 게실염증 주변에 고름을 동반하는 농양이 생기기도 하고, 염증이 있는 벽에 구멍이 생기는 대장 천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염증이 반복적으로 생기면 그 부위가 막히는 협착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히 대장 천공이 생기면 긴급 수술을 요하는 복막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게실염 발생 원인
게실이 있다고 바로 게실염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게실 입구가 대변이나 음식물 찌꺼기 등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서 세균이 증식하고 점막이 손상되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거나 담배를 피우는 경우 게실염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변비가 있으면 대장 내 압력이 증가하여 게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게실염 치료 방법
게실염이 있는 경우 통증 유무 게실염증 농도에 따라 통원치료와 입원치료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통원 치료의 경우
게실염이 경미한 경우 금식을 통해 장의 휴식을 주거나 위에 부담이 적은 음식을 먹으면서 항생제와 진통제를 복용하며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입원 치료의 경우
복통이 심하거나 고열을 동반하는 경우 입원하여 수액을 공급하고 정맥 항생제 치료를 합니다. 농양이 크거나 천공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장의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하여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게실염 예방 방법
게실염은 가족력 등 선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잘못된 생활습관과 같은 후천적 원인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요즘과 같이 육식과 가공육을 많이 먹는 서구화된 식습관은 게실염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중 조절을 하면서 육식과 같은 동물성 지방 섭취보다 야채, 과일 등의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흡연 또한 게실염 발생 위험이 있으니 금연하는 것이 게실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게실염이 있더라도 적절한 약물치료를 받으면 특별한 합병증 없이 완치가 가능한 질병입니다. 하지만 게실염을 악화시킨다면 대장암, 췌장암 등까지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적정한 식이요법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대장 내시경을 통해 게실염을 예방하고 조기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를 활용한 피해 보상 방법 알아보기 (0) | 2023.12.13 |
---|---|
홍역 증상 및 발생 원인, 치료 방법 등 모두 알아보기 (0) | 2023.12.12 |
코엔자임 큐텐의 효능과 특별히 더 챙겨 먹으면 좋은 사람들 알아보기 (0) | 2023.12.07 |
밀크시슬 효과와 효과 좋은 밀크시슬 고르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12.06 |
헬리코박터균 원인과 치료 방법 등 모두 알아보기 (0) | 202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