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관세청 사칭 피싱 내용과 주의 사항 알아보기

by 관리팀 최팀장 2023. 12. 6.

 

최근 피싱이 진화하여 보이스 피싱 이외에도 다양한 기관을 사칭하여 금품을 갈취하는 사기집단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존 경찰청, 검찰청, 금융감독원이 아닌 관세청을 사칭하며 세금 납부 또는 물품 배송을 미끼로 앱 설치를 요구하는 사기 범죄가 지속되어 관세청도 주의를 당부하고 있는데, 관세청 사칭 피싱의 구체적인 예와 사기당하지 않기 위한 주의 사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세청-사칭-피싱내용

 

관세청 사칭 피싱 내용

 

피싱범들은 관세청 명의의 가짜 문자메시지를 보내어 URL 클릭을 유도하여 악성 해킹 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킹 앱 설치 시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계좌의 있는 돈을 빼앗아 갈 수도 있습니다. 문자 외에도 관세청 직원으로 사칭하며 직접 전화하여 핸드폰에 해킹 앱 설치를 유도하던가 민감한 개인 정보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관세청 사칭 문자 사례

 

관세청을 사칭하며 보내는 문자의 사례를 보면 수입세금 미납, 자동이체 예정 또는 강제처분 등 관세납부와 관련한 문자 내용이거나 물품 배송을 이유로 돈을 요청하는 내용도 있습니다. 또한 의심을 줄이기 위해 국외 발신 문자와 국내 발신 문자를 병행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외발신 해외통관완료 문자

국외발신국외발신
출처 : 관세청

 

직구 구매가 늘어난 점을 이용하여 해외통관 완료가 되었음을 알리는 문자를 보내고 세금 납부를 직접 요구합니다.

 

 

국내번호로 발신된 문자

국내번호국내번호
출처 : 관세청

 

문자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발신자 번호를 국내 번호로 사용하여 회신 콜을 유도하거나 해킹 앱 설치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가짜 관세청 누리집 홈페이지 이용

피싱사이트정상사이트
출처 : 관세청

 

실제 관세청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가짜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인증을 요구하거나 개인정보를 빼앗아가기도 하니 관세청 누리집 실제 홈페이지를 정확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관세청 누리집 홈페이지 : www.customs.go.kr

 

관세청-바로가기

 

관세청 주의 사항

 

 

▶ 관세청은 절대 해외 번호로 문자를 발송하지 않습니다.

▶ 관세청은 카카오톡을 통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관세청은 문자로 관세 미납 시 형사처벌받을 수 있다는 협박을 하지 않습니다.

▶ 관세청은 절대 이런 내용의 문자를 보내지 않습니다.

▶ 관세청에서 보낸 문자인지 정확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 대표번호 125번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관세청은 세금 납부를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요구하거나 개별 앱 설치를 요구하고 있지 않으므로 관세청 명의의 수상한 문자메시지가 올 경우 문자메시지에 있는 URL 인터넷 주소를 절대 클릭하지 말고 발송 번호로 회신 전화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문자를 받음과 동시에 삭제하고 차단하여 피싱에 속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